본문 바로가기
Virtuality & Fun

3D & Robot, Soon

by Stan1ey 2010. 1. 11.
지난 6일자 USA Today에 실린 앞으로 10년간의 기술/경제적 변화상이라는 기사를 훑어보니, Personal technology와 Entertainment 분류의 내용이 재미있어서 스크랩해두기로 했다. 아래 내용은 나름의 요약과, 괄호 안은 그냥 떠오른 생각들이다.

Personal technology

Computers that anticipate our needs. 사용자의 행동 기록과 일정 계획을 바탕으로 좋아할만한 TV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등의 기능 (똑같은 이야기를 30년 전에도 들었던것 같은... 쿨럭 ;ㅁ; )

Housework by robots. 로봇 청소기뿐만 아니라 다른 로봇들까지 가사를 돕기 시작한다. 각각의 용도에 따라 여러 대의 로봇을 가지게 된다. (문제는 가장 단순한 기능의 로봇 청소기조차, 내세우고 있는 청소 기능을 제대로 처리하기에 제약이 많다는 거겠다.)

Shape-shifting personal computers. 마이크로 머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개인용 기기가 용도에 따라 형태를 바꾼다. (트랜스포머..라는 건데, 그냥 접었다 폈다가 하는 정도를 말하는 게 아니라면 쪼끔 무리일 듯. 주머니 속에서 자기 판단에 따라 꿈틀거리는 놈이 들어있다면 무엇보다 무섭잖어. -_-;; )

Brain chip implants. 생각으로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머릿속에 칩을 심을 수 있다. 이메일은 쓰지 못할지 몰라도 마우스는 움직일 수 있다고. (이걸 위해서 칩을 심고 싶은 사람은 전신마비로 고생하는 사람 뿐일 듯. 그걸 시장이라고 부를 순 없겠지.)


Entertainment

We'll view films in many ways. TV 외에도 컴퓨터, 태블릿, 스마틑폰 등등... (이미 충분히 그렇다고 생각하지만.)

... But still go to the movies. 그래도 외식 등 다른 경험을 위해서 영화관에는 계속 갈거다. (.. 그리고 영화관은 점점 비싸고 쾌적해질 듯.)

Plusher theaters. TV 경험과 차별화하기 위해서, 영화관은 여러가지 서비스를 추가할 거다. 고품질 영상과 음향, 3D, 좌석 예약제, 좋은 음식, 영화를 소개하는 아나운서 등 (몇가지는 이미 벌어지고 있는 일이고, 한국에선 약간 무리다 싶은 4D까지 가고 있다. 나머지 몇가지 엥? 싶은 게 사실.)

Motion-controlled video games. 닌텐도 Wii와 같은 동작인식 게임이 표준이 된다. 버튼 조작은 옛날 이야기. (흠... 버튼 하나로 멋진 칼부림을 날릴 수 있다는 건 나름 매력적이다. 심각한 게임과 쉽게 즐길 수 있는 게임으로 이분화되어 진행되리라는 예측이 더 맞아들지 않을까.)

Healthier video games. 동작인식 게임을 하는 사람은 - 특히 노인은 - 보다 많은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좀 극단적이긴 하지만, 가능성이 없는 이야기는 아니다.)

TV and computer, all in one. 가정에서는 컴퓨터와 TV가 일체화되어 TV의 고해상도 화면의 장점을 활용하게 된다. (이미 여러차례 시도됐지만, 결국 PC는 웹서핑 등 나름 특화된 기능이 있어서 미디어 PC를 하나 더 쓰는 걸로 결론이 내려지고 있지 않나?)

American Idol, 2020. 리얼리티 쇼는 계속해서 인기를 끌 거다. (그러시던가 -_-a )


이 두가지 분야가 기사 중에서 내가 관심을 갖고 읽은 대목이자, 그동안 이 블로그에서 다뤘던 내용이다. 이런 미래 예측이 꼭 모두 맞으리라는 법은 없지만, 가정용 로봇이 확대 적용되고 영상 미디어에 3D가 적극적으로 도입되는 것은 바로 지금 한창 현실이 되고 있기도 하다.

LG전자에서는 2007년 '로봇청소'라는 개념을 넣은 에어컨을 발매해서 좀 재미를 봤는지 (사실 구동부는 모두 내부에 있어서 사용자 입장에선 '로봇'이라는 느낌이 안 듦에도 불구하고), 다른 에어컨에 이미 적용되어 있는 움직임 감지 기능을 "인체감지로봇"이라는 이름으로 홍보하면서 요즘은 아예 로봇을 광고 전면에 내세워서 홍보하고 있다. 로봇 청소기를 시장에 정착시켰다고 할 수 있는 iRobot 사에서는 오히려 신제품 개발이 뜸한 반면에 삼성과 LG에서는 기존에 비해 개선된 청소로봇이 심심찮게 발표되고 있기도 하고, 여기에 점점 똑똑+복잡해지는 세탁기까지 로봇이라고 하기 시작하면 가정용 로봇이 확대 적용된다는 것은, 혹은 다른 말로 가전기기가 이제 '로봇'이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하고 있다는 것은 기정 사실이라고 봐도 되겠다.

3D 영상은 이미 극장에서는 누구나 대세라고 인정하는 것 같고, 이번 CES에서 삼성소니에서 LCD/OLED로 3D TV를 구현해서 내놓는가 하면 삼성은 아예 "3D의 모든 것을 보여주겠다"는 선언까지 해버린 듯 하다. (어느샌가 LED TV라고 부르는 LCD TV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기로 -_-; ) 아직까지 발표된 3D TV 방식은 모두 시청자가 배터리가 포함된 안경 shutter glass을 써야 하는 방식인데, 삼성에서 Real-D사와 협약을 맺었다는 걸로 봐서는 조만간 그냥 플라스틱 안경을 쓰는 식으로도 가능할지 모르겠다. 픽셀단위로 편광을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는지 이미 올릴대로 올려놓은 시간해상도를 반으로 나누려는 생각인지는 모르겠지만. 이에 발 맞춰서 영국에서는 SKY가, 미국에서는 DirecTV가, 그리고 이젠 가장 영향력 있는 케이블 채널이라고 할 수 있는 ESPN까지 3D 방송을 연내에 추진하겠다고 나섰다. 하드웨어에 컨텐트까지, 3D TV가 안방을 차지하리라는 것 역시 기정 사실이라고 할 수 있을 듯.


3D와 로봇이라... 솔직히 로봇은 UI와는 다른 방향을 향해서 발전해 나가는 것 같고 HRI 분야 역시 상품기획 측면의 담론만 지속될 뿐 실제적인 UI 디자인 수준에서는 별다른 진척이 없다. 그에 비해서 3D는 당장 UI 요소를 어느 depth에 위치시킬 것인가라든가 하는 실무적인 고민이 산적해 있는 상황이므로 앞으로는 이 분야의 논의가 점점 많아질 듯.

이제 Post-GUI라는 컨셉은, 모바일 기기에서는 터치 UI동작 UI, TV를 비롯한 AV기기에서는 3D UI라는 구도로 움직여 가는 듯 하다. 개인적인 바램으로는 컨텐트로서의 UI, 즐길 수 있는 Fun UI라는 방향도 좀 잡혀줬으면 하는데 말이지.



... 사실 이런 새로운 개념의 UI들이 실무에 적용되는 상황이 되면서, 블로그에 거기에 대한 글을 올리기가 점점 망설여지는 게 사실이다. 아무래도 연구 수준에서 하는 다루는 것과 취미(?) 수준에서 접근하는 것은 실제로 만들어보고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배우는 것과 질적으로 큰 차이가 있게 마련. 실무 없이 이것저것 끼워맞추다 보면 뭔가 흰소리가 많이 끼어들게 되어 있고, 그러다 보면 무식과 경험부족이 탄로나는 것도 시간문제라고 생각한다.

결국 그저 입 닥치고 있는 게 제일 나은데, 뭔가 좀 아쉬운 마음에 잊을만하면 이런저런 글을 올리고 있다. 그러면서 정작 종사하고 있는 Fun UI 분야의 생각은 좀체 마무리가 되지 않아 나서지 못하고 있는 중.

아놔, 이 블로그 어쩌지 이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