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에서 Surface Computing을 가지고 구형으로 뿌리나 싶더니 이번에는 SecondLight라는 개념을 추가했다고 한다. 첫번째 소식을 듣고는 저걸 어떻게 만들었을까를 이리저리 그려봤었는데, 동영상에서는 2개의 프로젝터와 액정필름을 이용했다는 것만 이야기하고 있다.
저 위의 손으로 들어 옮기는 '스크린'은 그냥 기름종이라고 하니, 결국 거기서 뭔가 하지는 않을테고, 결국 뭐 프로젝터에서 나오는 광선을 하나는 가로방향, 하나는 세로방향의 편광필터를 통과시켜서 역시 편광필터가 있는 스크린에 투과해서 편광 방향이 일치하는 화면은 상이 맺히지 않고 통과, 일치하지 않는 화면은 상이 맺히는 거 아닐까라는 게 첫번째 생각이었다.
그랬다가 다른 곳에서 접한 동영상은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었다.
결국 대충은 생각한 것과 비슷하지만 테이블 스크린의 편광 필터도 액정으로 동작하는 전자식이었다는 건 좀 의외다. SecondLight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을 꺼서 (즉, 빛을 거르지 않음으로써) 화면 밝기를 확보하거나, 아니면 그냥 두가지 화면이 모두 맺히는 걸 보면서 두 화면의 X, Y축 좌표를 맞추고 디버깅하는 용도로 쓰이는 거 아닐까 싶다. (원래 AR 계열 연구는 뭐 하나 세팅하려면 이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서로 calibration하는 게 큰 일이다. ㅡ_ㅡ;; )
... 근데 고해상도 카메라라는 게 얼마나 고해상도인지 모르겠지만, 일반 사람들이 생각하는 고해상도 - 요새는 1600×1200 해상도의 디카사진도 고해상도로 안 치는 듯 - 라면 이 뒤에는 데스크탑 PC 본체가 2대는 연결되어 있어야 할 거다. 어쩌면 그 둘에서 인식한 영상을 연동해주는 정보처리 PC가 하나 더 필요할지도 모르고. 그게 아니라 영상인식에서 말하는 고해상도 - 640×480이나 요새는 혹시나 800×600 정도도 가능하려나 - 라면 멀티코어 PC 한 대로 어떻게 될 것도 같고. 어쨋든 PC가 빠지는 바람에 이 그림이 많이 간단해진 것 같다.
... 다시 Microsoft의 SecondLight로 돌아와서 -_-a;;
이 놀라운 시스템도, 결국은 테이블 스크린를 반투명하게 한 장치이고, 두번째 화면만 생각하자면 거의 대부분이 테이블 표면을 통과하기 때문에 그냥 투명하다고 할 수도 있겠다. 결국 동영상에서 보이는 두번째 화면은 사실 작은 화면(기름종이)에만 뿌려지는 게 아니라 천정과 발표자의 얼굴에도 뿌려지고 있을 것 같다. 그것만 해결한다면 실용적으로도 쓸모가 있을텐데, 지금으로선 천정이 높거나 검은 곳에서만 사용해야 할 것 같은 시스템이다. 특히 누군가가 테이블에 붙어서 열심히 쓰고 있다면 다른 사람은 모두 사용자의 얼굴에 비춰진 두번째 화면을 볼 수 있을지도. ㅎㅎ
저 위의 손으로 들어 옮기는 '스크린'은 그냥 기름종이라고 하니, 결국 거기서 뭔가 하지는 않을테고, 결국 뭐 프로젝터에서 나오는 광선을 하나는 가로방향, 하나는 세로방향의 편광필터를 통과시켜서 역시 편광필터가 있는 스크린에 투과해서 편광 방향이 일치하는 화면은 상이 맺히지 않고 통과, 일치하지 않는 화면은 상이 맺히는 거 아닐까라는 게 첫번째 생각이었다.
그랬다가 다른 곳에서 접한 동영상은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었다.
결국 대충은 생각한 것과 비슷하지만 테이블 스크린의 편광 필터도 액정으로 동작하는 전자식이었다는 건 좀 의외다. SecondLight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을 꺼서 (즉, 빛을 거르지 않음으로써) 화면 밝기를 확보하거나, 아니면 그냥 두가지 화면이 모두 맺히는 걸 보면서 두 화면의 X, Y축 좌표를 맞추고 디버깅하는 용도로 쓰이는 거 아닐까 싶다. (원래 AR 계열 연구는 뭐 하나 세팅하려면 이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서로 calibration하는 게 큰 일이다. ㅡ_ㅡ;; )
... 근데 고해상도 카메라라는 게 얼마나 고해상도인지 모르겠지만, 일반 사람들이 생각하는 고해상도 - 요새는 1600×1200 해상도의 디카사진도 고해상도로 안 치는 듯 - 라면 이 뒤에는 데스크탑 PC 본체가 2대는 연결되어 있어야 할 거다. 어쩌면 그 둘에서 인식한 영상을 연동해주는 정보처리 PC가 하나 더 필요할지도 모르고. 그게 아니라 영상인식에서 말하는 고해상도 - 640×480이나 요새는 혹시나 800×600 정도도 가능하려나 - 라면 멀티코어 PC 한 대로 어떻게 될 것도 같고. 어쨋든 PC가 빠지는 바람에 이 그림이 많이 간단해진 것 같다.
잠시 딴 이야기로 새자면, 2005년 쯤인가 HelioDisplay라는 '공중에 투사되는 화면'이 꽤나 주목받은 적이 있다.
내가 이 제품을 직접 볼 기회가 있었던 것은 2006년 6월에 있었던 전시회에서 였는데, 아래와 같은 사진을 찍으면서 이 제품의 '숨겨진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위 그림에서의 3D 공간 상의 스크린(사실은 수증기로 만든 2D 막으로, 특수한 노즐이 달린 가습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실제로도 물을 리필해줘야 하는데, 회사 광고에는 그런 소리 절대로 안 나온다. ㅎㅎㅎ )에 화면을 투사하는 방식으로 적당한 거리(이론 상 약 3m 떨어지면 양안시차로 구분할 수 있는 물리적/지각적 입체감은 거의 의미가 없고, 이미지 상의 패턴을 인지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에서 떨어져서 보면 실제 뭔가가 입체적으로 떠있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저 수증기 스크린은 투사되는 빛을 제대로 잡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화면이 어둡고 화면 자체도 반투명하다. 그러다보니 회사 웹사이트의 이미지도 교묘하게 배경을 검게 만들었고, 위의 동영상이나 전시장도 검은배경을 만드는 게 관건이었던 것 같다. 위의 직찍 사진 중 한장은 일부러 비스듬하게 찍어서 흰색 배경을 넣었는데, 화면이 전혀 보이지 않는 걸 볼 수 있다.
저 위의 사진을 찍고 뒤돌아 서다가 본 광경은 좀 더 놀라왔는데, 스크린의 투과성이 높다 보니 화면에 뿌려지는 내용이 그대로 뒷쪽에도 뿌려지고 있었던 거다.
내가 이 제품을 직접 볼 기회가 있었던 것은 2006년 6월에 있었던 전시회에서 였는데, 아래와 같은 사진을 찍으면서 이 제품의 '숨겨진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위 그림에서의 3D 공간 상의 스크린(사실은 수증기로 만든 2D 막으로, 특수한 노즐이 달린 가습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실제로도 물을 리필해줘야 하는데, 회사 광고에는 그런 소리 절대로 안 나온다. ㅎㅎㅎ )에 화면을 투사하는 방식으로 적당한 거리(이론 상 약 3m 떨어지면 양안시차로 구분할 수 있는 물리적/지각적 입체감은 거의 의미가 없고, 이미지 상의 패턴을 인지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에서 떨어져서 보면 실제 뭔가가 입체적으로 떠있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저 수증기 스크린은 투사되는 빛을 제대로 잡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화면이 어둡고 화면 자체도 반투명하다. 그러다보니 회사 웹사이트의 이미지도 교묘하게 배경을 검게 만들었고, 위의 동영상이나 전시장도 검은배경을 만드는 게 관건이었던 것 같다. 위의 직찍 사진 중 한장은 일부러 비스듬하게 찍어서 흰색 배경을 넣었는데, 화면이 전혀 보이지 않는 걸 볼 수 있다.
저 위의 사진을 찍고 뒤돌아 서다가 본 광경은 좀 더 놀라왔는데, 스크린의 투과성이 높다 보니 화면에 뿌려지는 내용이 그대로 뒷쪽에도 뿌려지고 있었던 거다.
... 다시 Microsoft의 SecondLight로 돌아와서 -_-a;;
이 놀라운 시스템도, 결국은 테이블 스크린를 반투명하게 한 장치이고, 두번째 화면만 생각하자면 거의 대부분이 테이블 표면을 통과하기 때문에 그냥 투명하다고 할 수도 있겠다. 결국 동영상에서 보이는 두번째 화면은 사실 작은 화면(기름종이)에만 뿌려지는 게 아니라 천정과 발표자의 얼굴에도 뿌려지고 있을 것 같다. 그것만 해결한다면 실용적으로도 쓸모가 있을텐데, 지금으로선 천정이 높거나 검은 곳에서만 사용해야 할 것 같은 시스템이다. 특히 누군가가 테이블에 붙어서 열심히 쓰고 있다면 다른 사람은 모두 사용자의 얼굴에 비춰진 두번째 화면을 볼 수 있을지도. ㅎ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