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oice UI

Mental Model of Subway Platform

by Stan1ey 2008. 3. 29.

지하철을 기다릴 때마다 거슬리는 게 있는데, 바로 차가 들어올 때마다 나오는 안내방송이다. 목소리가 거슬리거나, 소리가 너무 크다거나 하는 게 아니다. 멘트 중에 딱 한 대목이 맘에 들지 않는다. UI 쟁이로서. (어쩌면 특히 Voice UI에 관심이 있는 사람으로서 일지도 모르겠다. =_=;; )

"... 안전선 밖으로 한걸음 물러서 주시기 바랍니다."

내가 원래 삐딱한 인간이긴 하지만, 아무리 그걸 감안하더라도 난 저 안팎의 구분이 이해가 가질 않는다. 일단 저 방송의 사용자인, 플랫폼에서 전철이 들어오기를 기다리는 승객들은 안전선의 어느 한쪽에 - 살고싶다면 선로의 반대편에 - 서 있을 것이다. 그 경우 '사용자 중심의 관점'이라면, 안전선 '안쪽으로' 물러서는 게 자연스럽지 않은가! 난 저 안내방송이 나올 때마다 아래 그림이 떠오르곤 한다.

Just Do It: 지하철 선로로 들어가지 말라는 경고문 아래에, 나이키의 Just Do It 광고가 붙어있다.

아마도, 그 안내방송은 그 공간에서 일하는 사람... 즉, 전철 운전기사(호칭을 잘 모른다;;;)의 관점에서 씌여진 것일게다. 자기가 몰고 들어가는 전철의 관점에서는 분명 안쪽이라는 것은 전철의 쪽이고, 그 바깥쪽으로 한걸음 물러서라는 거니까 얼마나 당연한가. ... 늘 이 '당연한' UI 설계가 사용성을 망치는 법이다. 무엇보다도, 이 방송이 나오는 순간 정작 그곳에는 없는 사람(설계자)의 관점에서 만들어졌으니, 결국 주어진 사용맥락에서는 아무도 있는 그대로는 내용을 이해할 수 없게 된다. 저, 안전선 "밖으로" 한걸음 물러났다가는 떨어져 죽는다고요... ㅡ_ㅡ;;;



십여년 동안이나 별탈없이 (그동안 '시키는대로' 안전선 밖으로 뛰어내린 사람은 아무도 없었을 것이다) 사용해온 딱 한마디의 방송멘트를 놓고 이러쿵 저러쿵 하는 게 새삼스럽고 유난스럽긴 하지만, 최근 설치되고 있는 스크린 도어에서 발견한 문구를 보고 그냥 넘어갈 수가 없었다.

안전선 내(안)에서 열차를 기다립시다.

"... 안전선 내(안)에서 열차를 기다립시다."

요컨대 누군가는 또 안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걸까. 그렇지만 기껏 유리문으로 막아놓고서 유리문이 없던 시절의 경고문을 제시하는 건 무슨 경우며, "내 안에 너 있다"도 아니고 "내(안)"이라는 표현은 또 누구의 기발한 고안인가. 혹시나 안전선을 무시하고 유리문에 달라붙어 있는 게 위험하다면 "안전선에서 한걸음 떨어져 주세요" 라든가 하는 식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혹은 안전선을 낮은 문턱처럼 만들어 본능적으로 거리를 두도록 유도하는 방법도 써볼만 할 것이다.

이외에도 너무 잦은 습관성 경고문이라든가 (모든 역은 차량과의 간격이 넓다 -_-;; 그럼 "우리 역은" 이라는 말을 빼란 말이지), 실로 다양한 오류의 variation을 보여주고 있는 방향지시 간판들이라든가,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는 주변 안내도라든가... 지하철 역 하나만으로도 하고싶은 이야기는 정말 많다. 환승역의 경우에는 보통 역보다 10배쯤 많을 것이다.

하지만 일단 가장 자잘한 문제 하나... 사진을 찍은 김에 적어두고 싶었다. 처음에 쓸데없이 '안'과 '밖'을 고민했을(?) 누군가 덕택에, 지하철에서는 안전선의 '안'과 '밖'에 대한 mental model이 여지껏 충돌하고 있는 중이다. 모든 창조적인 작업에 있어서의 소위 첫단추 신드롬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P.S. 지하철에서의 촬영은 교대역에서 했다. 한잔 걸치고 오던 길이라 앵글 맞추고 어쩌고 그런 거 없었다. (이거 또 반전인건가 ㅡ_ㅡ;;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