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TI in General

What Randy Pausch Taught Me

by Stan1ey 2008. 8. 21.

CHI 2005에 참석했을 때의 일이다. Opening Plenary를 맡았던 CMU의 한 교수가, <A Technologist's Comments on Psychologists, Artists, Designers, and other Creatures Strange to Me>라는 제목으로 이런저런 재치 넘치는 사진들을 보여주다가 다음 그림을 보여줬다.

Image from Rich Gold's Plenitude

당시에는 아직 출간 전이었던 Rich Gold의 <Plenitude>라는 책에 실린 이 그림은, 예술(art)과 디자인(design)과 과학(science)과 공학(engineering)을 우리가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지를 물어보고 있다.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세상을 두 종류로 구분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라고 했던가. ;-) 저 위의 네 가지 직업을 둘로 나누라고 하면, 많은 사람이 아래와 같이 나눌 것이다.

How to divide Art & Design, Science & Engineering

즉, 우리나라 식으로 하자면 예체능과 이공계로 나눈 셈이고,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위 그림에서 강연자가 표현한대로 "수학을 잘 하는 사람"과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으로 나뉘는 셈이다. 재미있는 것은 - 강연자의 표현대로는 - 세상이 예술과 디자인을, 과학과 공학을 같은 부류로 묶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예술과 디자인 사이, 과학과 공학 사이에는 일종의 관점의 차이와 가치관에 대한 논쟁이 있다는 것이다. 생각해 보면 디자인을 처음 배울 때부터 "예술과 공학의 중간"이라고 하면서도 "그러면 디자인과 예술은 어떻게 다른가?"에 대해서 많은 토론 시간을 투자했던 기억이 난다.

그런 현상을 지적하면서, 강연자는 다음 그림과 같은 구분이 오히려 올바르지 않겠느냐는 주장을 했다.

How to divide Art & Science, Design & Engineering

예술과 과학은, 비록 주관적/객관적인 차이가 있긴 하지만, 변치않는 진리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의 관점을 가진다. 반면에 디자인과 공학은 각각 예술과 과학의 실용분야로서 현실 속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는 공통점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내가 공돌이 소릴 듣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고, 다른 분야의 사람들과 협업한다는 것에 대해서 서로 이렇게 저렇게 공유할 수 있는 접점을 찾을 수 있구나 하면서 열심히 들었던 대목이다. 출장보고서에서도 가장 강조하면서 '우리가 취하고 있는 관점은 무엇인가?'라는 점을 한동안 열심히 떠들기도 했고. 특히 그가 강조한 각 분야 '전문가'에 대한 생각은 그런 사람들과 매일을 보내야 했던 나로서는 그야말로 더이상 공감갈 수 없는 내용이었다.

Randy Pausch's thought on professionals

다른 교육배경과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서로 어떤 자세로 서로를 포용하고 하나의 그룹으로 협업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 강연에서 말하고 싶었던 것은, 아마도 강연자가 미리 자리에 올려놓은 인쇄물에 잘 요약되어 있지 않나 싶다.

Randy Pausch's note o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Don't be afraid to be silly
그 외에 기억에 남는 부분이라면, 발표자료의 대부분을 차지한 본인과 동료 연구자, 학생들의 다소 우스꽝스러운 사진에서 몸소 보여주려고 한 듯 했던 "바보같아 보이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아라. 그 순간 당신의 새로운 커리어가 시작될 수 있다"는 대목이었다. 자신이 교육받았던 가치관에 비추어 볼 때에는 상식에 벗어나는 어리석은 행동일지 몰라도, 함께 일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전문가의 벽을 뛰어넘을 필요가 있다는 의도였던 것 같다.





이 CHI 2005 강연자의 이름은 Randy Pausch - CMU의 ETC, Entertainment Technology Center 라는 멋진 이름의 연구소를 설립하고, Walt Disney나 다른 엔터테인먼트 기업들과 함께 협업하며 어떠한 새로운 각도의 연구가 가능한가를 몸소 보여줬던 분이다. 젊은 나이에 ETC를 세우고 운영하면서 자신만의 분야를 확립한 사람이기에, 한편으로는 무척 부럽고 한편으로는 존경스러웠던 사람이다. 강의를 들을기회는 딸랑 한번이었지만, 실제로 비슷한 상황에 있던 나로서는 배울 게 참 많았던 강의였다.

어제 이런저런 관련된 내용을 찾다가, 오래간만이 이 이름을 보고 반가와 하려다가 "~2008)" 이라는 표시에 간담이 서늘해졌다. 부랴부랴 찾아보니 바로 한 달쯤 전에, 췌장암으로 운명을 달리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암 말기 판정을 받고 CMU에서의 자신의 일을 정리하고, 마지막 몇달은 가족과 함께 보냈다고 한다. 젊은 나이에 죽음을 선고받은, 누구보다도 즐겁게 연구하고자 했던 뛰어난 인재의 마음에는 어떤 생각이 들었을까.

랜디 포쉬 Randy Pausch 가 CMU를 떠나며 마지막으로 했던 강의 <Really Achieving Your Childhood Dreams>는 'The Last Lecture'라는 제목으로 인터넷에서 동영상과 강의자료 등이 돌아다니고 있다. Randy의 마지막 강의에 대해서는 인터넷을 뒤져보니 다른 분의 블로그에 아주 잘 정리되어 있다.



위의 강의 동영상은 1시간이 넘는 긴 분량이다. 몇 부분은 CHI 2005에서도 봤던 내용인데다가, 강연 전반에 걸쳐서 그때와 거의 비슷한 즐거운 논조로 시종일관 사람들을 웃기며 한편으로 고양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In memory of Randy Pausch
이런 사람이 40대에 수많은 가능성을 뒤로 한 채 떠났다는 사실을 뒤늦게나마 접하고는 아마도 같은 분야에 있는 사람으로서 얼마나 아쉬운지 모른다. 그는 UI/HCI 분야의 선구자였으며, 누구보다도 공학 기술을 UI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이를 성취하는 데에 큰 열정을 보였으니 HTI 분야의 거목이었다고 생각한다. 모쪼록 고인의 명복을 빈다. ▶◀





마지막 이미지는 발표내용 중 몇번이나 인용된 "Brick walls are there for a reason: they let us prove how badly we want things." (해석하자면, 장벽은 다 이유가 있는 법이다. 그건 우리가 그걸 얼마나 원하는지를 증명해 보이라고 있는 것이다... 정도가 될까?) 라는 문장이다. 전체적인 발표내용에선 좀 벗어나지만, 뭔가 남들이 하지 않은 것을 할 때, 틀에 벗어나 왠지 바보같아 보일지 모르는 행동을 해야 할 때, 머리는 이 길이 맞다는 걸 알지만 걱정과 의심이 앞설 때 한번쯤 되돌아 보고싶은 내용이다.

Brick walls are there for a reason: they let us prove how badly we want thing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