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CRAP

<Mental Models> Now Published in Korea

by Stan1ey 2009. 11. 23.
시니컬한 내용으로 유명한 사우스 파크(South Park)라는 TV 애니메이션에, 다음과 같은 장면이 한 엉터리 사업가의 소위 '사업계획'으로 등장한 적이 있다.

Gnomes' Business Plan, from South Park

애니메이션 내용은 위의 링크에 자세히 나오지만 그다지 중요하지 않고, 어쨋든 위 장면은 어떻게 결과를 이룰 수 있는 지에 대한 계획 없이 일단 뭔가 하면 될 것이라는 식의 접근법을 풍자할 때 종종 인용된다.

(1) 빤쓰를 모은다.
(2) ???
(3) 이익을 남긴다.

그런데 위의 문장들을 이렇게 바꾸면 어떨까.

(1) 사용자를 관찰한다.
(2) ???
(3) 좋은 UI를 디자인한다.

혹은 다음과 같이 바꿀 수도 있다.

(1) 사용자 니즈를 조사/분석한다.
(2) ???
(3) 좋은 UI를 디자인한다.

조금만 더 솔직해져 보자.

(1) 사용자 중심으로 생각한다.
(2) ???
(3) 좋은 UI를 디자인한다.

위의 "???"에 들어갈 말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UI 디자인에 있어서 사용자 연구 방법론을 역설한다는 것이 Gnome의 엉터리 사업계획과 뭐가 다를까?



멘탈모델: 인간 행위에 기반한 디자인 전략
지난 몇개월 동안 저녁과 주말시간을 투자한 번역작업이 드디어 마무리되어, <Mental Models: Aligning Design Strategy with Human Behaviour>라는 책이 <멘탈모델: 인간 행위에 기반한 디자인 전략>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됐다.

사실 UI/UX 한다는 사람치고 "멘탈모델"이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살지 않는 사람은 없겠지만, 그게 실무적으로 어떤 "문서"이고 어떻게 만들 수 있는 건지를 알고 있는 사람은 없다고 봐도 될 것이다. 사용자 연구 분야에서 어느 정도 경력이 있는 사람들은 사용자의 마음 속에 있다는 이 모호한 멘탈모델이라는 개념을 이러저러하게 정리하면 되더라는 나름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기도 하지만, 멘탈모델 개념과 문서는 UI 설계문서의 형식만큼도 일반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누가 그 보고서를 쓰는냐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그 내용을 멘탈모델로 정리하는 방법이 달라지게 마련이다.

이 책도 결국은 한 경험 많은 사용자 연구 전문가의 노하우를 정리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어떤 상품을 기획하거나 그 UI/UX를 실제로 설계하는 단계에 앞서서 반드시 거쳐야 할 사용자 연구 단계를 어떻게 준비하고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그리고 그 각각의 순간에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를 하나하나 자세히 기술하고 있어서, 단지 개념적이고 원칙적인 사용자 중심의 접근이 아니라 실제로 어떤 작업들이 사용자 연구를 수행해서 그 결과를 정리하고 궁극적으로 UI 디자인 실무에 전달될 수 있는지를 철저히 업무 중심으로 설명해 준다. 그렇기 때문에 내용도 가끔은 이래도 되나 싶을 정도로 실제적이고, 실무자들끼리 술자리에서나 나눌 법한 술수라든가 푸념까지도 죄다 적혀있는 것이다.

나름 번역을 진행하면서는 이 책이 위에서 말한 "???" 부분을 채워주는 내용이라고 생각했다. 디자인에 있어서 그나마 이론적인 배경을 찾아서 UI 분야에 뛰어든 실무자들에게 이 책의 내용이 어떻게 받아 들여질까?

아래는 책에 포함된 "옮긴이의 글". 사실 위의 내용은 아래 글을 쓰면서 차마 넣지 못한 부분이다. ^^;

사용자 경험(UX) 디자인은 어쩌면 이상주의자의 분야라고 할 수 있다. UX 디자인은 사용자에게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관련 문헌들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법을 제시한다. 하지만 UX 디자인의 이상을 품고 다양한 방법론을 익힌 사람들이 실제로 회사에서 겪게 되는 현실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

사용성 평가에 예산과 시간을 투자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은 물론이고, 모든 세부사양이 결정된 상태에서 기본적인 UI 디자인 작업에 주어지는 시간조차도 부족한 경우가 많은 것이다. 결국 대부분의 프로젝트를 주어진 조건에 따라 양산하듯 진행하다 보면, 문득 학창시절 들뜬 가슴으로 읽던 책들에 먼지가 쌓여있는 것을 발견하게 되고, 그 책에서 읽은 이상 중에서 UX 실무자가 추구할 수 있는 것은 어디까지인지, 여러 기법 중에서 실제로 업무에 적용한 건 무엇이었는지를 뒤돌아 보게 된다.

처음 이 책의 번역을 의뢰 받았을 때 가장 먼저 든 생각은, ‘이미 다양한 기법들로 가득한 UX 분야에, 방법론에 대한 책이 과연 더 필요할까?’라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번 읽어나 보자고 생각했던 이유는, 그동안 UX 분야에서 애매모호한 개념으로나 소개되어 왔던 사용자의 “멘탈모델”이라는 것을 하나의 방법론으로 만들고, 그걸 무려 책 한 권의 분량으로 풀어낸 사람이 있다는 사실에 대한 호기심 때문이었다.

그동안 UX 분야의 실무자들에게 있어서 “멘탈모델”이라는 말은, “기존의 UI는 사용자의 멘탈모델과 맞지 않는다”는 식으로, 사용자가 생각하고 있는 무언가를 적당히 에둘러 말하기 좋은 용어 정도였다고 생각한다. 만일 누군가가 “그글자색래서 그 멘탈모델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건 뭔가요?”라는 질문을 한다면, 직관적으로 떠오른 UI 디자인을 갖다 붙이지 않고 사실에만 근거해서 대답할 수 있는 무언가가 우리에게 있었던가? 이 책에서는 멘탈모델을 간단한 도표로 작성함으로써 확신을 갖고 “사용자의 멘탈모델은 이렇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는 방법을, 다년간의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조목조목 설명해 주고 있다.

사실 이 책은 새로운 UX 방법론에 대한 학습서라기보다, 차라리 여러 해 실무에 찌든 팀장이 자판기 커피를 마시면서 전수해주는 노우하우에 가깝다. 무리해서 내용을 그럴 듯하게 꾸미지도 않고 장대한 비전을 제시하지도 않지만, 그 내용에는 오랜 경험과 고민 끝에 그려낸 확고한 전략과 그 전략을 실행할 탄탄한 시나리오가 녹아있기 마련이다. 그런 이야기는 때로는 다독거리면서 올바른 길을 가르쳐 주고, 때로는 혹독한 현실을 냉정하게 일깨워 주며, 그런 현실을 흔들림 없이 마주할 수 있는 방법도 알려 준다.

이 책에서 결과물로 제시하는 멘탈모델 자체는 한 장의 도표지만, 여러가지 실무 환경에서 객관적인 시선을 유지하며 사용자의 멘탈모델을 구축해온 저자의 경험과 노우하우는 이 책 한 권을 모두 채우고도 넘친다. UX 실무자들이 각자의 업무 환경에서 확고한 사용자 멘탈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흔들리지 않는 지침으로 삼는 데에 “멘탈모델” 한글 번역본이 일말의 도움이 된다면 더 바랄 게 없겠다. (후략)



P.S. 에휴... 사실은 그냥 오타나 비문 같은 거나 없었으면 좋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