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아는 분이 재미있는 동영상이라면서 URL을 하나 보내줬다. 바로 G-Speak. 모르긴 몰라도 꽤나 주목받을 것 같은 완성도의 제스처 입력 장치다. 일단은 받은 동영상부터 연결하고 시작하자.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개봉된 게 벌써 6년 전이다. 그 동안 수많은 Gesture UI와 Tangible UI, 그리고 가장 자격미달인 Touch UI까지 이 영화를 인용하며 자기 UI의 '혁신성'을 강조하곤 해왔다. (사실 영화야 2054년을 배경으로 했다고 해도 그것과 비교될 만한 걸 만든 건 왠지 혁신과는 거리가 있지 않나... -_-a ) 그런데, 이번엔 아예 영화 속의 동작기반 UI를 온갖 기술을 동원해서 똑같이 재현한 게 나온 거다. 이건 차라리 좀 혁신적이다.
이 프로토타입 시스템은 Oblong Industries이라는 작은 기술벤처 회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미국 방위산업체인 Raytheon Systems에서 자본을 댔다는 것 같다. 이 시스템에 대한 소개는 벌써 2006년 미국에서 방송을 탄 모양으로, CNN과 CBS에서 방송된 내용이 이미 유투브에 올라와 있다.
하나 더. (위의 것이 CNN, 아래 것이 CBS)
이제까지의 "마이너리티 리포트 방식" UI 들이 감히 하지 못한 게 데모 전에 실제로 영화의 장면을 보여주는 거 였는데, 저 화려한 실행장면에 비해서 그 일부만 구현했거나 온갖 보조장치가 덕지덕지 붙어 등장하는 기술데모는 초라하기 그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번엔 아예 보란듯이 나란히 보여주기까지... 아주 자신만만하다.
조금 감상적으로 씌여진 회사의 연혁 혹은 기술적 배경역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회사의 대표는 바로 MIT Media Lab의 Tangible Media Group에서 Hiroshi Ishii 교수에게 수학했던 John Underkoffler이다. 말하자면 Tangible UI의 1세대라고 할 수 있겠는데, 그동안 그저 TUI의 태고적 흑백동영상 정도로 치부되던 1997년의 'Luminous Room' 동영상까지 덩달아 띄우고 있다. (이 기회에 개인적으로 좋아라 하는 I/O Bulb 개념에 대한 업계의 관심도 좀 살아나줬으면 좋겠는데 어쩌려나.)
이 사람의 배경을 생각하면서 뉴스에 나온 영상들을 들여다보면, 대충 이 시스템은 AR 태그를 이용한 인식방법과 모션캡춰를 결합해서 돈을 아끼지 않고 만든 시스템으로 보인다. 최소한 3대의 프로젝터와 최소한 6대의 적외선 카메라, 그것도 카메라는 상당히 고해상도임이 틀림 없다. 그렇다고 시스템이 고정된 건 아니고, 그때그때 공간에 맞게 설치해서 calibration해서 사용할 수 있는 모양이다. 맨 앞의 동영상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용자 앞의 벽면에서 사용자를 노려보는 카메라만 5개다.
인식은 일반 모션캡춰에서 쓰이는 것보다 훨씬 작은 적외선 반사체를 양손의 장갑위의 손등과 엄지/검지/중지에 붙이되, 각각의 위치에 5x7의 격자를 놓고 35칸 중에서 5~6군데에만 반사체를 붙여 각각의 점을 구분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널리 사용되는 AR Toolkit에서 흑백으로 인쇄된 종이를 사용하는 걸 응용한 듯.
문제는 정황 상으로는 비싼 군사용 고해상도 적외선 카메라와 엄청나게 빠른 컴퓨터를 사용했을 것 같은데, 카메라에 비친 저 카메라들과 광원의 모습은 전혀 적외선 카메라가 아니라는 거다. 일반적으로 적외선등(IR-LED Array)은 눈으로는 안 보이지만 보통 카메라로 찍으면 왼쪽 사진(2005년 용산 CGV의 영상인식 홍보설치물에서 촬영)처럼 보라색 광원으로 보이기 마련인데, 촬영된 동영상 어디에도 그런 건 없고 오히려 연두색 점광원만 보이고 있다. 흐음. 설마하니 자외선등 같은 건 아닐테고, 보안을 이유로 카메라에 적외선 필터라도 달게 한 걸까. 그렇다고 카메라의 빨강 LED가 녹색으로 보일 정도로 심한 필터링이 가능한지 모르겠다. ㅡ_ㅡa;;; 그 외에도 저 손가락 태그에 노란색/보라색 색이 칸칸이 다른 모양으로 칠해져 있는 이유가 딱이 설명되지 않는다. 뭔가 단순히 적외선 반사체의 배열로 AR tag를 대신해서 모션캡춰 장비에 연결시킨 것만은 아닌 모양.
그래서... 혹시나 해서 특허를 찾아보니 뭐 줄줄이 나온다. 저 앞의 뉴스에서는 원리가 비밀이라고 하더만, 딱히 비밀일 것도 없네 뭐. ㅡ_ㅡa;;; 대충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맞아 떨어진다. 2006년 2월에 출원했는데 여태 등록이 안 된 상태라서 그렇게 말한 걸지도 모르겠다. 어쨋든 특허만으로는 그냥 적외선 카메라 외에 특별한 걸 못 찾았다. 결국 이번 시스템의 기술적 비밀은 그저 막대한 (눈 먼) 군사자본이었던 거냐... OTL...
바로 전의 소니의 동장인식 게임 컨트롤러의 뉴스도 그렇고, 며칠 후에 올리려고 하는 뉴스도 있고... 요 며칠 참 동작기반 UI 관련 소식이 많다. 이번의 G-Speak가 많은 동작 UI 팬들의 마음을 설레게 할 만큼 영화 속의 환상을 잘 재현하고, 상상으로만 생각하던 동작인식 시스템을 그대로 구현한 건 사실이지만... 여전히 UI의 근원적인 질문을 안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게 쓰기 편할까?"
솔직히 동작인식.. 그것도 저렇게 양팔을 열심히 돌리고 움직여야 하는 UI가 사용자에게 편할 리가 없잖아. =_=;;; 테러리스트 잡으려는 일념으로 뭐 하나 검색하고 나면 완전 땀으로 범벅 되겠다. ㅋㅋ 게다가 동작 UI 해 본 사람은 안다. 동작명령 외우는 게 "가리키기"와 "잡기"를 제외하고는 (그런데 이것도 결국 마우스의 point and click이라 ;ㅁ; ) 얼마나 어려운지.
테러리스트 잡으려면 사실 데이터가 확보되는 게 우선이고, 데이터가 확보된 후에는 3D 마우스나 터치스크린 정도면 충분한 속도로 검색할 수 있을 것 같다. 굳이 저렇게 '달밤에 체조'를 하지 않아도 볼 수 있는 건 충분히 볼 수 있으텐데 말이지... 굳이 사용자의 손을 영상인식으로 추적하는 것보다, 수집된 영상데이터에서 수상쩍은 상황을 영상인식으로 골라내서 보통 PC 앞에 앉은 사람에게 최종확인을 맡기는 게 나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ㅡ_ㅡa;; (아 물론 쫌 과장이다. 적외선 광점을 찾아내는 건 수상한 상황을 인식하는 것보다 몇천배 쉽다 ^^: )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개봉된 게 벌써 6년 전이다. 그 동안 수많은 Gesture UI와 Tangible UI, 그리고 가장 자격미달인 Touch UI까지 이 영화를 인용하며 자기 UI의 '혁신성'을 강조하곤 해왔다. (사실 영화야 2054년을 배경으로 했다고 해도 그것과 비교될 만한 걸 만든 건 왠지 혁신과는 거리가 있지 않나... -_-a ) 그런데, 이번엔 아예 영화 속의 동작기반 UI를 온갖 기술을 동원해서 똑같이 재현한 게 나온 거다. 이건 차라리 좀 혁신적이다.
이 프로토타입 시스템은 Oblong Industries이라는 작은 기술벤처 회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미국 방위산업체인 Raytheon Systems에서 자본을 댔다는 것 같다. 이 시스템에 대한 소개는 벌써 2006년 미국에서 방송을 탄 모양으로, CNN과 CBS에서 방송된 내용이 이미 유투브에 올라와 있다.
다음 날 아침에 추가:
뒤늦게 팀원이 지적해줘서 확인해 보니, 이 방송내용은 2006년 12월자 포스팅이다. =_=;; 결국 이때의 시스템을 개선(카메라 위치라든가 사용자 앞의 작업테이블로 이동하는 방식이라든가)해서 며칠 전에 맨 앞의 동영상을 올렸다고 보는 게 맞을 듯. 추가로 홍보비를 확보한 걸까. -_- 어쨋든 아래 뉴스 동영상에 기반한 내용들과 위 동영상 내용은 시기적으로 구분해서 참고하시길.
뒤늦게 팀원이 지적해줘서 확인해 보니, 이 방송내용은 2006년 12월자 포스팅이다. =_=;; 결국 이때의 시스템을 개선(카메라 위치라든가 사용자 앞의 작업테이블로 이동하는 방식이라든가)해서 며칠 전에 맨 앞의 동영상을 올렸다고 보는 게 맞을 듯. 추가로 홍보비를 확보한 걸까. -_- 어쨋든 아래 뉴스 동영상에 기반한 내용들과 위 동영상 내용은 시기적으로 구분해서 참고하시길.
하나 더. (위의 것이 CNN, 아래 것이 CBS)
이제까지의 "마이너리티 리포트 방식" UI 들이 감히 하지 못한 게 데모 전에 실제로 영화의 장면을 보여주는 거 였는데, 저 화려한 실행장면에 비해서 그 일부만 구현했거나 온갖 보조장치가 덕지덕지 붙어 등장하는 기술데모는 초라하기 그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번엔 아예 보란듯이 나란히 보여주기까지... 아주 자신만만하다.
조금 감상적으로 씌여진 회사의 연혁 혹은 기술적 배경역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회사의 대표는 바로 MIT Media Lab의 Tangible Media Group에서 Hiroshi Ishii 교수에게 수학했던 John Underkoffler이다. 말하자면 Tangible UI의 1세대라고 할 수 있겠는데, 그동안 그저 TUI의 태고적 흑백동영상 정도로 치부되던 1997년의 'Luminous Room' 동영상까지 덩달아 띄우고 있다. (이 기회에 개인적으로 좋아라 하는 I/O Bulb 개념에 대한 업계의 관심도 좀 살아나줬으면 좋겠는데 어쩌려나.)
이 사람의 배경을 생각하면서 뉴스에 나온 영상들을 들여다보면, 대충 이 시스템은 AR 태그를 이용한 인식방법과 모션캡춰를 결합해서 돈을 아끼지 않고 만든 시스템으로 보인다. 최소한 3대의 프로젝터와 최소한 6대의 적외선 카메라, 그것도 카메라는 상당히 고해상도임이 틀림 없다. 그렇다고 시스템이 고정된 건 아니고, 그때그때 공간에 맞게 설치해서 calibration해서 사용할 수 있는 모양이다. 맨 앞의 동영상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용자 앞의 벽면에서 사용자를 노려보는 카메라만 5개다.
인식은 일반 모션캡춰에서 쓰이는 것보다 훨씬 작은 적외선 반사체를 양손의 장갑위의 손등과 엄지/검지/중지에 붙이되, 각각의 위치에 5x7의 격자를 놓고 35칸 중에서 5~6군데에만 반사체를 붙여 각각의 점을 구분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널리 사용되는 AR Toolkit에서 흑백으로 인쇄된 종이를 사용하는 걸 응용한 듯.
문제는 정황 상으로는 비싼 군사용 고해상도 적외선 카메라와 엄청나게 빠른 컴퓨터를 사용했을 것 같은데, 카메라에 비친 저 카메라들과 광원의 모습은 전혀 적외선 카메라가 아니라는 거다. 일반적으로 적외선등(IR-LED Array)은 눈으로는 안 보이지만 보통 카메라로 찍으면 왼쪽 사진(2005년 용산 CGV의 영상인식 홍보설치물에서 촬영)처럼 보라색 광원으로 보이기 마련인데, 촬영된 동영상 어디에도 그런 건 없고 오히려 연두색 점광원만 보이고 있다. 흐음. 설마하니 자외선등 같은 건 아닐테고, 보안을 이유로 카메라에 적외선 필터라도 달게 한 걸까. 그렇다고 카메라의 빨강 LED가 녹색으로 보일 정도로 심한 필터링이 가능한지 모르겠다. ㅡ_ㅡa;;; 그 외에도 저 손가락 태그에 노란색/보라색 색이 칸칸이 다른 모양으로 칠해져 있는 이유가 딱이 설명되지 않는다. 뭔가 단순히 적외선 반사체의 배열로 AR tag를 대신해서 모션캡춰 장비에 연결시킨 것만은 아닌 모양.
그래서... 혹시나 해서 특허를 찾아보니 뭐 줄줄이 나온다. 저 앞의 뉴스에서는 원리가 비밀이라고 하더만, 딱히 비밀일 것도 없네 뭐. ㅡ_ㅡa;;; 대충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맞아 떨어진다. 2006년 2월에 출원했는데 여태 등록이 안 된 상태라서 그렇게 말한 걸지도 모르겠다. 어쨋든 특허만으로는 그냥 적외선 카메라 외에 특별한 걸 못 찾았다. 결국 이번 시스템의 기술적 비밀은 그저 막대한 (눈 먼) 군사자본이었던 거냐... OTL...
바로 전의 소니의 동장인식 게임 컨트롤러의 뉴스도 그렇고, 며칠 후에 올리려고 하는 뉴스도 있고... 요 며칠 참 동작기반 UI 관련 소식이 많다. 이번의 G-Speak가 많은 동작 UI 팬들의 마음을 설레게 할 만큼 영화 속의 환상을 잘 재현하고, 상상으로만 생각하던 동작인식 시스템을 그대로 구현한 건 사실이지만... 여전히 UI의 근원적인 질문을 안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게 쓰기 편할까?"
솔직히 동작인식.. 그것도 저렇게 양팔을 열심히 돌리고 움직여야 하는 UI가 사용자에게 편할 리가 없잖아. =_=;;; 테러리스트 잡으려는 일념으로 뭐 하나 검색하고 나면 완전 땀으로 범벅 되겠다. ㅋㅋ 게다가 동작 UI 해 본 사람은 안다. 동작명령 외우는 게 "가리키기"와 "잡기"를 제외하고는 (그런데 이것도 결국 마우스의 point and click이라 ;ㅁ; ) 얼마나 어려운지.
테러리스트 잡으려면 사실 데이터가 확보되는 게 우선이고, 데이터가 확보된 후에는 3D 마우스나 터치스크린 정도면 충분한 속도로 검색할 수 있을 것 같다. 굳이 저렇게 '달밤에 체조'를 하지 않아도 볼 수 있는 건 충분히 볼 수 있으텐데 말이지... 굳이 사용자의 손을 영상인식으로 추적하는 것보다, 수집된 영상데이터에서 수상쩍은 상황을 영상인식으로 골라내서 보통 PC 앞에 앉은 사람에게 최종확인을 맡기는 게 나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ㅡ_ㅡa;; (아 물론 쫌 과장이다. 적외선 광점을 찾아내는 건 수상한 상황을 인식하는 것보다 몇천배 쉽다 ^^: )
반응형